Q 0. 리눅스 9.3 UEFI 펌웨이 설치
UEFI 설정 바꿔주기
/ 최소 10GB
/boot 1GB
/boot/efi(500M) < 이게 보이려면 UEFI로 설정을 바꿔줘야함
/var, /home. /swap은 자율적으로
8.14.4.4. 권장 파티션 계획 | Red Hat Product Documentation
페이지 형식 선택 Multi-page Single-page
docs.redhat.com
사이트 들어가면 권장 파티션을 알 수 있음
사이트에서 권장 하는 파티션 크기
/home 최소 1G
/swap 최소 1G
/boot 최소 1G
문제에서 telnet, ssh 원격 연결이 있음으로 settings > Network Adapter 추가> Bridged

ip a로 확인했을 때 ip 두 개가 생기지 않으면
nmcli connection modify ens33 ipv4.addresses "" ipv4.dns "" ipv4.method auto connection.autoconnect yes
nmcli networking on < ip 에러 발생시 입력해주면 됨.
nmcli con up ens33
Q. 1.윈도우 - 리눅스 호스트 간 원격 연결(Telnet,SSH 등)
ssh-keygen
ssh-copy-id [상대방계정]@[상대방IP]
상대방 password 입력
나갈 땐 exit

팀원이 접속할 계정 만들어주기
useradd [만들계정]
passwd [만든계정]
passwd 입력해주기

총 팀원 3명(나 제외)의 계정 | |||
user | pink1 | passwd | pink1 |
pink2 | pink2 | ||
pink3 | pink3 |
[ 팀원 정보 ]
1.10.0.1.224
qwer
2.10.0.1.156
qwer
3.10.0.1.147
qwer
ssh 접속을 위해
vi /etc/ssh/sshd_config

비어 있는 자리에
PermitRootLogin
PermitRootLogin=yes
systemctl restart sshd
2. 팀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서버 간 NFS, Samba, FTP 서비스 연결
🌟dnf, yum : 인터넷에서 받아올 땐 yum
2-1 NFS 설치
dnf -y install nfs-utils

2-2 Samba 설치
dnf -y install samba

2-3 FTP 설치
dnf -y install vsftpd

팀원과제 3. 팀원 중 한 명은 웹 서버+메일 서버를 혼합하여 구축하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메일에 접근
3-1. 메일 서버 구축하기
가상 머신의 호스트 이름 설정
dnf -y install sendmail

vi /etc/hostname

vi /etc/hosts
[내 IP ] mail.khs.com < 접속할 메일 서버 입력
*5. 팀원이 메일 서비스에 사용될 DNS 서비스 구축하되, 다른 팀과 연결 되어 모든 팀이 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모든 도메인의 정보와 리버스 존을 보유하는 구간에서 메일 구축 해줌

vi /etc/mail/local-host-names

🎶주석 지우고 그 자리에 써도 상관 없다.
vi /etc/sysconfig/network
HOSTNAME=mail.khs.com::

reboot

호스트 네임 변경 확인
hostname

메일 서버 구축
dnf -y install sendmail-cf dovecot

vi /etc/mail/sendmail.cf
85 cwlocalhost > 바꾼 호스트 네임으로 바꿔주기

268 가운데 Addr=127.0.0.1만 제거 해주기

vi /etc/mail/access
문제 중 팀원 한 명은 웹 서버 + 메일 서버를 혼합하여 구축하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메일에 접근하는 도메인도 입력
khs.com
hsg.com
10.0.1

makemap hash /etc/mail/access < /etc/mail/access 수정 내용 적용
vi /etc/dovecot/dovecot.conf
24, 30, 33 주석(#) 제거 > set nu보다 안에 있는 구문 보고 주석 삭제해주기

vi /etc/dovecot/conf.d/10-ssl.conf
8 ssl = yes로 변경

vi /etc/dovecot/conf.d/10-mail.conf
25, 121, 166 주석 제거 > set nu보다 안에 있는 구문 보고 주석 삭제해주기



khs.com 메일 계정 사용자 생성해주기
useradd khs
passwd khs


systemctl restart sendmail
systemctl enable sendmail

systemctl restart dovecot
systemctl enable dovecot

systemctl stop firewalld
systemctl disable firewalld


방화벽 재시작
systemctl start firewalld.service
systemctl enable firewalld.service

내가메일 서버를 구현
메일 관련 프로토콜 3개 > SMTP, POP3, IMAP
smtp 전송 전용
imap 수신 전용 데이터 안 남김
pop3 수신 전용 데이터 남김
이름으로
firewall-cmd --permanect --add-service={smtp, imap,pop3, imaps, pop3s}
포트 번호(에러가 많이 날 수 있어서 권장 안함)
firewall-cmd --permanect --add-port={22,23,143}

firewall-cmd reload
3. root로 작업 혹은 serverjob 계정을 만들고, 해당 계정에 sudo 권한을 부여하여 작업 중 택 1
개인별, 팀 별로 다음과 같은 작업 진행
공통 과제
0. 리눅스 9.3의 UEFI 펌웨어 설치(/var, /home, swap, /, /boot(1G), /boot/efi(500M) 파티션을 적절히 분배)
1. 윈도우 - 리눅스 호스트 간 원격 연결(Telnet, SSH 등)
2. 팀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서버 간 NFS, Samba, FTP 서비스 연결
3. root로 작업 혹은 serverjob 계정을 만들고, 해당 계정에 sudo 권한을 부여하여 작업 중 택 1
팀원 별 과제
3. 팀원 중 한 명은 웹 서버 + 메일 서버를 혼합하여 구축하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메일에 접근
4. 팀원 중 한 명은 웹 메일에 제공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5. 팀원 중 한 명은 메일 서비스에 사용될 DNS 서비스를 구축하되, 다른 팀과 연결되어 모든 팀이 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모든 도메인의 정보와 리버스 존을 보유
(팀원 4명인 조는 3번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
[선택 과제]
RAID 1+0으로 구성된 가상 볼륨 /dev/md111에 LV를 구성하여 나눈 후, 해당 LV를 /newhome에 마운트하여 quota를 적용하되, 적용받는 유저 quotauser를 생성(반드시 마운트 후 유저를 생성하여 홈 디렉터리가 /newhome에 생성되도록 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