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8

240704 dockertest

dockertest 작업 빌드 가능 여부 확인 빌드 가능시 도커 호스트의 /opt/docker 에 .war 파일 보임    docker images로 4gltomcatimg:v1 이미지 확인 해당 이미지로 run 옵션을 통해 8086으로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docker run -d -p 8086:8080 --name tomcatcontainer 4gltomcatimg docker run -d --restart always -p 8086:8080 --name 4gltomcatimg_con1 4gltomcatimg:v1  만들어지면 도커 호스트 IP:8086으로 접속접속 불가 시 보안 그룹 체크(인바운드 > 8086 > 0.0.0.0/0     컨테이너 구성까지 자동화..

서브넷 계산

https://www.calcip.com/  2^24 2^8 = 256개 : 0 ~ 255 192.168.1.1 ~ 192.168.1.254  /24 : 0000 0000 ~ 1111 1111 --------------------------------  2^7 = 128  128 개 : 0~127 - 192.168.1.1~192.168.1.126 128 개 : 128~255 - 192.168.1.129~192.168.1.254  /25 0 000 0000 : 0 ~ 127 1 000 0000 : 128 ~ 255   10.1.1.0/24 를 서브넷팅하여  (/24->/25) 2개의 네트워크 영역으로 나눈 후, 각 각 사용가능한 첫번째와 마지막을 라우터, PC에 할당하시오. PING test 완료하시오. ..

240610 Ansible 설치 /삭제

👉설치  apt-get install dirmngrapt-key adv --keyserver hkp://keyserver.ubuntu.com:80 --recv A621E701  apt updateap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 add apt repository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한 설치add aptrepository --yes --update ppa:ansible/ansible > 최신 버전 설치를 위한 목록 추가apt install ansible  👉삭제apt remove ansible 👉collections 설치ansible-galaxy collection install cisco.ios

240605 IPv6 축약

1. 0이 연속 될 경우 ::으로 축약2. 앞에 0이 있을 경우 생략 가능 2000:AB78:0020:01BF:ED89:0000:0000:0001 > 2000:AB78:20:1BF:ED89::1FB80:0000:0000:0000:0002:0000:0000:FBE8 > FB80::0:2:0:0:FBE8 자릿수2001:0DB8:8B00:0001:FB89:017B:0020:0011👉한 구역마다16    :  32   :  48   :  64  : 80  :   96   :  112  : 128 👉한 자리마다4 8 12 16 :   20 24 28 32 :  36 40 44 48 : 52 56 60 64  : 68 72 76 80 : 84 88 92 96 : 100 104 108 112 : 116 120 1..

카테고리 없음 2024.07.01

240626

Q 0. 리눅스 9.3 UEFI 펌웨이 설치  UEFI 설정 바꿔주기  / 최소 10GB/boot 1GB/boot/efi(500M) /var, /home. /swap은 자율적으로https://docs.redhat.com/ko/documentation/red_hat_enterprise_linux/7/html/installation_guide/sect-recommended-partitioning-scheme-x86 8.14.4.4. 권장 파티션 계획 | Red Hat Product Documentation페이지 형식 선택 Multi-page Single-pagedocs.redhat.com사이트 들어가면 권장 파티션을 알 수 있음사이트에서 권장 하는 파티션 크기 /home 최소 1G/swap 최소 1G/boo..

Jenkins 설치 방법

1. jenkins 홈페이지 들어가기        2. 설치해주기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2023.keyyum install jenkins       3. java 설치dnf -y install java-17-amazon-corretto-develjava -version   4. 시스템 시작systemctl --now enable jenkinssystemctl daemon-reload    5. 웹서버 열어서 jenkins ip :8080cat /var/lib..

아마존 생성 및 삭제 [ 총정리-설명]

리전(Region) : 국가별 AWS 서비스의 분류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 리전 밑의 데이터센터의 집합 > AZ로 지칭  🌟VPC에서의 블록은 16이상 불가능VPC 10.0.0.0/16*불변*가변256 x 256 = 가용 IP (65,536) 서브넷은 더 작게 출발10.0.0.0/2010.0.64.0/2010.0.32.0/2010.0.80.0/20   AWS 네트워크 생성  만들 때 주의 사항1. 서브넷 연결 : rt(routing table)가 영향을 줄 서브넷 선택2. 라우팅 : local은 그대로 두고 게이트웨이 연결 모두 완료 후 VPC 리소스 맵 확인🌟키 복사 후 권한은 400 ( chmod 400  pem 이름 그대로) 1. VPC (리전 당 최대 5개 생성) 2-1..

서브넷

*전체 범위 *실제 사용 서브넷  /25 128 👉 2개0~127  128~2551~126  129~254/26 129 👉 4개0~63  64~127 128~191 192~2551~62  63~126 127~190 191~254 /27 224👉 8개0~31  32~62 63~93 124~155 156~186 186~2551~30  31~61 62~92 123~154 155~185 185~254 /28 2400~151~14/29 2480~71~6/30 2520~31~2 /30 2520~31~2/31 2540~11/32 255    128 64 32 16 8 4 2 10000 00001010 0000 > 1600010 1000 > 400111 1100 > 124

wordpress db

🍔web과  db 구분을 위해서 도메인 바꿔주기 hostnamectl set-hostname web/dbexec bash  🍟DBssh -i pem파일(tab누르기)@db ipdnf -y install mariadb105(원격 데스크톱 연결에선 105써야함)-server systemctl start mariadbmysqlcreate database khsdatabase( . - 안 먹음 -_- );grant all(모든 권한을 줌) on khsdatabase.* to khs(유저생성)@'10.0.26.213(web IP)' identified by '1234(비번생성)';나갈 때 exit   🍟 Web ( /var/www/html에 접속하기 위해선 httpd를 설치 해야 함) ssh -i pem파일..